본문 바로가기
예전 포스팅/2019 개인 포스팅

우리나라 정치를 보니 일본을 많이 빼낀거.. 자유당이 왜 자꾸 정권을 잡는지.. 친일파가 많았는지 이유를 알겠네요 .. 부동산학개론1 듣고 알

by 멀라머가 2021. 8. 9.

멀라머가

  • 2019.03.28 03:03
  •  

 

하지만 부동산으로 돈을 벌고자 하는 사람들 덕분에 투표는 엉망이 되어버리게 되죠 ...
결국 그러다가 상식적인 일이 비상식이 되고

제대로된 비리들이 너무 많이 넘쳐나고

나라 세금은 지멋대로 다써버리고 ... 엉망이 되어버렸다는거죠

그것또한 국민을 유린하면서 가짜뉴스나 가짜 정보로 홀리거나

특권층에게만 이득이 가게 하는 행위를 하게되고
아래 사람들은 특혜를 받는거 같아도 다른쪽에서는 또 피눈물 흘리게 되는 이상한 구조가 되더라구요

나라가 잘살고 흥청망청 쓰게 나라가 돌아가는것 같아도
실제로는 그게 아니였다라는 결론이였어요 ..

 

우리나라 정치를 보니 일본을 많이 빼낀거??.. 자유당이 왜 자꾸 정권을 잡는지.. 친일파가 많았는지 이유를 알겠네요 .. 부동산학개론1 듣고 알 | 예전 포스팅/2019 개인 포스팅

멀라머가 2019. 3. 27. 17:02

http://blog.daum.net/choclub/15638

 

2019년 1학기 부동산학개론1 [24분] 부동산버블과 세계 주요국의 부동산 문제 (일본)

 

 

대부분 일본의 부동산 내용을 가져왔고

정치적인 문제에서도 자유당이나.... 일본넘들이 과거 일제시대 한국을 점령하면서

많은 친일파나 각종 일본에 유리한 기업들과 기타등등을 한국에 뼈속깊이 심어두고 갔네요

 

그러다보니 친일 관련된걸 처리하자는 이야기가 나온 이유를

이제서야 알거 같네요

 

내용 일부분이지만

전체적 내용을 안봐도 답이 나오네요

 

왜 자유한국당이 자꾸 이상한 헛짓거리 하나 했더니...

일본의 과거를 보고 분석하고

뭔가 모르게 일본식 비슷하게 많다했더니 이유가 있었네?

왜 자꾸 삐딱하게 나가고......

 

언론이나 뉴스들이 왜 헛짓거리 하면서 심리적으로 국민 유린한지 나오네요

 

 

ps 참고로 저는 교과서나 누군가가 집필한 책의 내용은 다 믿지 않아요

그냥 어떤 형태를 띄면서 쓴건지 보고 있는거에요

다 맞는 말은 아니니 알아서 판단하세요..

원래 책이나 일본에서도 자료 조작을 밥먹듯이 하기 때매;;

 

ps 우리나라가 일본껄 정말 많이 배껴온게 보이거든요?

그래서 과거와 현재의 일이 왜 이렇게 일어난지 너무 잘보여요 ...

 

문제는 미래의 일도 보이니까 문제인건가 ㅠㅠ

아 암울해요 ㅠ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ㅡㅡㅡ
3교시
ㅡㅡㅡ
ㅡㅡㅡㅡㅡ
121 페이지
ㅡㅡㅡㅡㅡ
1. 일본
1) 일본의 부동산 버블


<그림 4-7> 일본의 부동산가격 추이

 

 

자료:일본 부동산 연구소

 

ㅡㅡㅡㅡㅡ
122 페이지
ㅡㅡㅡㅡㅡ
1. 일본
1) 일본의 부동산 버블

- 일본의 자산가치 상승은 1987년부터 1991년까지 급속하게 증가했으며 일
본의 주가는 1983년부터 연간 20%이상 상승

- 지가상승 역시 1983년 동경을 시작으로 1991년까지 9년간 급등

- 일본의 금융위기는 1990년 주가폭락과 1991년 지가폭락이 동경을 비롯한
대도시부터 중소도시, 지방으로 확산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1992
년부터 11년간 지속적으로 하락


ㅡㅡㅡㅡㅡ
123 페이지
ㅡㅡㅡㅡㅡ
1. 일본

1) 일본의 부동산 버블

- 1985년 플라자 협정 이후 일본정부는 확장정책을 시행
- 플라자 협정 이후 엔화 평가절상으로 1986년 일본의 수출은 전년대비 5.1%
감소하고 GDP 성장률은 1985년 6.3%에서 2.8%로 크게 위축

- 1986년부터 1987년까지 10조엔 규모의 경기부양책과 1985년 5%이던 기준금
리를 1987년 2.5%로 인하

- 1986년부터 1988년까지 연간 공공투자는 3.9%, 5.1%, 5.5%로 증가

- 1988년부터 1990년까지 일본경제는 평균 6.0% 성장을 기록

-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자 일본은행은 기준금리를 2.5%에서 6%로 급격히 인상했
으며 이는 자산버블 붕괴로 연결되었음

- 부동산 버블이 붕괴되기 시작한 1992년부터 일본의 장기불황이 시작됐으며,
부동산, 개인소비, 기업 및 금융부문, 저물가 등 복합불황의 형태를 띰

-‘잃어버린 10년(1991년-2000년)’

 

ㅡㅡㅡㅡㅡ
124 페이지
ㅡㅡㅡㅡㅡ
1. 일본

(1) 디플레이션
(2) 과다한 국가부채

- GDP대비 국가부채 비중은 2007년 188%에서 2009년 218%, GDP대비
재정적자 비중은 2007년 2.4%에서 2009년 10.3%로 급등하였다. 2009년
말 기준 국가부채와 재정적자 규모는 각각 1,032조엔, 48.8조 엔으로 IMF,

2) 일본 경제가 직면하고 있는 위기의 요인
EU 등의 재정건전성 판단기준을 넘어서는 상황

(3) 인구 고령화
- 2005년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20%를 넘어서며 초고령 사회에
진입

- UN의 2009년 "세계인구의 노화(World Population Ageing)"에 따르면, 일
본은 60세 이상 인구 비중이 29.7%로 세계 1위, 중간나이 또한 44.4세로 세
계 1위를 차지

- 2010년 일본은 1968년 이후 42년 동안 지켜왔던 세계 2위 경제대국
자리를 중국에 넘겨줌

 

ㅡㅡㅡㅡㅡ
125 페이지
ㅡㅡㅡㅡㅡ
1. 일본

2) 일본 경제가 직면하고 있는 위기의 요인


<그림 4-8> 세계 주요국의 명목 GDP(Gross Domestic Product)


16.000.000ㅣ
14.000.000ㅣ
12.000.000ㅣ
10.000.000ㅣ
8.000.000ㅣ
6.000.000ㅣ
4.000.000ㅣ
2.000.000ㅣ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미국 중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브라질 캐나다 러시아 인도 스웨덴 오스트레일리아 맥시코 대한민국

 


출처: International Monetary Fund

 

ㅡㅡㅡㅡㅡ
126 페이지
ㅡㅡㅡㅡㅡ
1. 일본

3) 일본의 정권교체

- 2009년 9월 16일 일본 국민은 1955년 이래 54년간 일본 정치를 주도해
온 자민당 정권에 대해 엄중한 심판을 내리고 사상 처음으로 야당인 민주당
에 정권을 맡김

- 정권교체 이후 경제위기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여 2012년 다시 자민당이
집권하게 됨

 

ㅡㅡㅡㅡㅡ
127 페이지
ㅡㅡㅡㅡㅡ
2. 마무리

전 세계적으로 부동산 문제는 단순히 경제체제 뿐 아니라 정치체제의 안정을 뒤흔
들 수 있는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2007년 서브프라임 사태 발발 이후 한국, 미
국, 일본뿐 아니라 유럽의 여러 국가에서도 정권이 교체되었음

댓글